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모든 항공사는 기내 컵라면 제공를 금지하라, 국토부에서 내놓은 권고사항입니다. <br><br>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늘자 마련한 대책인데요.<br> <br>장호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기내식과 물품들이 바닥에 널브러져 있습니다. <br> <br>산소 마스크는 좌석 위쪽으로 매달려 있습니다. <br><br>최근 비행 중 난기류로 인한 사고가 늘자 국토교통부가 모든 국적 항공사에 컵라면 서비스 중단을 권고했습니다. <br><br>일반석과 비즈니스석 등 좌석 형태를 가리지 않고 모든 좌석에 대해 서비스를 중단하라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대한항공은 오늘부터 일반석에서 컵라면 제공을 금지하면서 비즈니스석 이상에서는 그대로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> <br>유료로 컵라면을 판매 중인 저비용항공사 측은 "정부의 강한 권고에 고민을 해보겠지만 당장의 변화는 없을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국토부 조치에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립니다. <br> <br>[최점순 / 서울 강서구] <br>"커피 컵라면 없애도 되는 것은 괜찮을 것 같아요. 흔들리면 데일 확률이 많잖아요." <br><br>[공항 이용객 A씨] <br>"그거 꼭 금지를 해야하나요? 먹을 수 있는 사람은 먹을 수도 있어야지." <br> <br>사고 예방을 위해 기내 면세용품 판매 시간도 제한됩니다. <br><br>"미국, 유럽 등 중·장거리 비행의 경우 착륙 40분 전까지 2시간 이내 단거리 비행은 착륙 15분 전까지 면세품 판매 등 기내 서비스 종료를 권고했습니다."<br> <br>정부는 또 비행 중 상시 안전벨트 착용하는 방안을 구체화 할 계획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장호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기섭 <br>영상편집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장호림 기자 holi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