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확산 중인 변종 엠폭스 감염 사례가 북유럽인 스웨덴에서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한 가운데 유럽 내 확산 우려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9월부터 콩고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주로 확산해온 변종 엠폭스, <br /> <br />이번에는 북유럽인 스웨덴에서 감염 사례가 나와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보건 당국은 현지 시간 15일 오후 스톡홀름에서 치료받던 사람이 변종 엠폭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감염이 확인된 첫 번째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[올리비아 위그젤 / 스웨덴 공공보건기관 사무총장 : 이 사례는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진단된 변종 엠폭스에 의한 첫 사례입니다. 감염되신 분 또한 변종 엠폭스가 대규모로 발병하고 있는 아프리카 지역에 머무는 동안 감염됐습니다.] <br /> <br />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던 엠폭스는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급성 발열이나 두통,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변종 엠폭스는 지난 2022년 유행한 엠폭스보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유럽에서 조만간 더 많은 감염 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세계보건기구, WHO는 지난해 5월 엠폭스 확산세가 주춤하자 해제했던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다시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/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: 발병을 막고 생명을 구하려면 국제적으로 공조된 대응이 필수적입니다. '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'는 국제보건법상 가장 높은 수준의 경보입니다.] <br /> <br />WHO는 우선 긴급기금에서 150만 달러, 우리 돈으로 20억여 원을 집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엠폭스 대응에 초기에만 천5백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힌 것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금액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희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김지연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희재 (kjyo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81606573015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