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본토에서 군사 작전을 한지 열흘째, 우크라이나도 러시아도 서로 포로를 생포했다며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치열해지는 여론전, 정다은 기자가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눈은 가려지고 손이 묶인 채 일어서는 군인들. <br> <br>러시아 국방부가 직접 공개한 우크라이나군 포로 모습입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도 엎드려 있는 수십 명의 러시아군 포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양측 모두 우크라이나가 공세를 벌이고 있는 러시아 남서부 접경지, 쿠르스크 지역에서 포로를 생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본토를 점령한 뒤 여론전도 치열해지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진격했던 마을 일부를 탈환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총 35㎞ 진격해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송관이 지나가는 에너지 요충지, 수자 지역을 완전히 점령했다고 반박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러시아 본토에 군사 지휘통제소까지 들인다며 못 박았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시르스키 총사령관은 러시아군으로부터 수자 지역이 해방된 것에 대해 보고했습니다. 우크라이나군 군사지휘소가 그곳에 설치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러시아는 쿠르스크뿐 아니라 벨고로드에도 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안드레이 벨루소프 / 러시아 국방장관] <br>"벨고로드 지역에 추가 병력 및 수단을 보내 주요 업무를 수행하게 할 것입니다." <br> <br>러시아 측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스트라이커 장갑차 등을 드론으로 공격하는 모습을 공개하면서, 우크라이나의 영토 진공 배후로 미국을 포함한 나토를 지목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