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테슬라가 뒤늦게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전기차 4종 중 2중에 중국산 배터리를 혼용해 탑재한 걸로 나타났는데요.<br> <br>공개 방식을 놓고도 뒷말이 나옵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테슬라도 뒤늦게 전기차 배터리 공개 대열에 합류했습니다. <br> <br>국토부 자료에 따르면, 전기차 4종 중 2종이 중국산 배터리를 혼용해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올해 국내 테슬라 판매의 98% 이상을 차지한 모델3와 Y가 대상인데 국산 LG에너지솔루션 일본 파나소닉, 중국 CATL 배터리가 혼용돼 탑재됐습니다.<br> <br>하지만 테슬라는 배터리 공개방식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이 자사 홈페이지에 공지한 것과 달리, 테슬라는 국토부 자동차리콜센터 누리집에만 공개하면서입니다.<br> <br>정작 어제 테슬라가 차주들에게 보낸 이메일에는 배터리 정보가 담기지 않았고, 공개된 자료를 보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. <br> <br>[A 테슬라 차주] <br>"화재 사건이 일어나면서 불안감이 확실해진 건 있는 거 같아요 예전보다. 제조사에서 좀 투명한 정보공개나 부족한 건 사실인 거 같고(요.)" <br> <br>또 연식을 비롯해 차종 세부 유형별로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, 정작 어떤 배터리가 쓰인 건지 알기 어렵다는 불만도 나옵니다.<br> <br>[B 테슬라 차주] <br>"스탠다드, 롱레인지, 퍼포먼스 이렇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트림(유형)이. 차 유형별로 배터리가 다른 거 같은데 국토부 내용에서도 그런 세부적인 구분에 대해서 정보가 없어서 곤란한 상황입니다." <br> <br>테슬라 측은 "조만간 세부 유형별로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예정" 이라면서도 "자사 홈페이지는 글로벌에서 관리해 한국만 공지를 올리기는 어렵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