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3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2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달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건데요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전세사기 피해자 단체가 사각지대 없는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면서 빠른 법 개정을 촉구한 가운데, <br /> <br />[이철빈 / 전세사기·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(지난 13일) : 중요한 건 피해자 회복에 실질적 도움이 될지 사각지대는 없을지 얼마나 빨리 시행할 수 있을지 세 가지입니다.] <br /> <br />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으면서 발생한 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올해 들어서만 3조 원을 훌쩍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월별 보증사고 액수를 살펴봤더니 올해 2월 6천4백89억 원을 정점으로 4개월 동안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달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도시보증공사, HUG는 지난달 보증사고액이 늘어난 건 전셋값이 정점을 찍었던 지난 2022년 5월에서 7월 무렵 전세보증 가입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HUG 관계자 : 지난달 대비 만기가 도래하는 전세보증금액이 많아 7월 전세보증 사고 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세입자의 전세금 반환을 요청받은 HUG가 올해 상반기 집주인 대신 임차인에게 내어준 이른바 '대위변제액'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%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HUG는 전세보증 사고율은 완만하게 낮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보증사고 액수도 오는 4분기부터 줄어들고 시차를 두고 대위변제액 역시 차츰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여야는 오는 28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을 처리할 전망이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한수민 <br />디자인;이원희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1919140288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