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도 예외없이 열대야가 이어지는데요.<br> <br>29일째인데, 같은 서울이라도 선선한 곳들이 있습니다. <br> <br>은평구는 25도 밑으로 떨어지거든요. <br><br>왜일까요?<br> <br>서창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밤 서울 지역 평균 최저기온은 26.4도. <br> <br>열대야 기준인 섭씨 25도를 29일 연속으로 넘었습니다. <br> <br>연속 열대야 최장 기록을 다시 갈아치운겁니다. <br> <br>기존 기록은 2018년의 연속 25일이었는데. 올해 이미 기록을 넘어섰고 매일 경신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있습니다. <br><br>서울에도 연속 열대야가 끝난 곳이 있습니다. <br> <br>이곳 은평구는 지난주 내내 최저기온이 열대야 기준인 25도를 밑돌았습니다.<br> <br>[조판님 / 서울 은평구] <br>"바람이 불고 좀 선선해진 것 같아요. 아침에 운동하러 나가면 시원한 바람이 조금 있어요." <br> <br>[오행란 / 서울 은평구] <br>"산이 이쪽에 있어서 조금 다른 데에 비해서 나은 거 같아요. 살만한 정도까지 아닌데 아주 더울 때보다는 조금 많이 낫죠." <br> <br>영등포구와 용산구의 어제 아침 최저기온이, 각각 28.6도와 28.2도를 기록한 것과 대조적입니다. <br> <br>빌딩숲이 무성한 강남구 강남역과 은평구 주택가의 기온을 측정해 비교해봤습니다. <br> <br>아직 햇볕이 뜨거운 오후 4시 30분, 강남은 36.7도, 은평은 33.9도로 3도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.<br> <br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] <br>"'열섬현상'이 차이가 있다는 거죠. 똑같은 서울이라고 하더라도 나무가 많은 지역이 있을 테고 또 어떤 지역은 빌딩이라든가 산업체라든가 차량이 많이 있다든가…" <br> <br>기상청은 열섬 효과 외에도 인구 밀집 정도와 고도 차이 등으로도 서울 안에서도 온도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창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추진엽 권재우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서창우 기자 realbr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