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가 운영비를 지원하는 독립 분야 공법 단체를 늘리는 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는 광복회 단 한 곳 뿐이었거든요. <br> <br>정부는 부인하지만 최근 독립기념관장 인선 문제로 정부와 갈등을 빚은 광복회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솔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 <br>보훈부가 독립분야 공법단체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공법단체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운영비를 지원받고, 기념사업 등 공적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현재까지 독립분야 공법단체는 광복회 단 1곳 뿐입니다. <br> <br>보훈부 관계자는 채널A에 "추가 지정 요구나 민원이 지속되고 있어 이전부터 검토해왔다"면서 "올해 광복절을 계기로 추진 의지가 강력해지면서 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지난 광복절, 광복회가 정부와 별도로 광복절 기념식을 개최하고 기념식에서 대통령 퇴진 요구 등 정치적 발언이 나온 것과 관련해 광복회가 독립운동 유공자들의 뜻을 전부 대변할 수 있겠느냐는 반발을 반영한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현재 국가유공자를 기리기 위해 지정된 보훈부 산하 '공법 단체'는 모두 17곳. <br><br>호국 분야 10곳, 민주 분야 6곳인데, 독립 분야는 광복회 한 곳만 지정돼 있었습니다. <br> <br>추가 지정 단체로는 순국선열유족회와 순직의무군경 유족회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광복회는 공법단체 자격으로 연간 25억 원가량의 예산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공법단체가 추가될 경우 광복회 지원 예산이 삭감될 거라는 전망도 나왔지만, 보훈부는 "공법 단체 예산은 총액이 정해져 있지 않아 추가 지정 되더라도 삭감되지 않는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논란이 거세지자 대통령실은 "결정된 바 없다"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