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을지연습 마지막 날인 오늘 전국에서 민방위 훈련이 실시됐습니다. <br> <br>올해는 북한의 핵미사일 공습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는데요. <br> <br>공습 사이렌이 울려도 대피소로 피하긴커녕 갈길 그대로 가는 시민들이 많았습니다. <br> <br>강태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오후 2시가 되자 공습 상황을 알리는 경보음이 거리에 울려 퍼집니다. <br> <br>세종대로 인근에서 경찰 통제 하에 차량도 모두 멈춰 섰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훈련상황입니다. 훈련상황입니다. 15분간 주민 대피와 5분간의 차량통제를 실시하니 안내에 따라주시기 바랍니다." <br> <br>전국 17개 시·도 광역자치단체에서 동시에 민방위 훈련이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공습경보가 발령되면 국민들은 신속하게 인근 대피소나 지하공간으로 대피해야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정작 현장에선 사이렌이 울려도 대피소로 발걸음을 옮기는 시민은 많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시민] <br>"주변에 이제 몇몇 군데마다 계시길래 (훈련을) 하는구나, 그 정도만 알았어요. 지하로 대피한다거나 이런 건 생각지도 못해 가지고." <br> <br>공습경보를 듣고도 그냥 걸어가는 시민이 다수 보이고 대피소인 지하철 역사 안도 텅 비었습니다. <br> <br>[대피 안내 요원] <br>"원래는 이제 대피를 시켜드리는 게 맞는데, 아무래도 저희가 강제를 할 수 없으니까 이제 (횡단보도) 통제만…" <br> <br>대피 요원 안내도 적극적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[김다나 / 서울 강남구] <br>"시청 쪽은 아무래도 공무원분들이 많이 계시고 하니까 민방위 훈련도 정석대로 하시는 거 같은데 바로 옆 지하철역인 광화문역만 보더라도 잘 모르는 시민들도 많고." <br> <br>민방위 대피소는 아파트 지하와 지하철역 등 전국 만 7천여 곳이 지정돼 있습니다. <br><br>실제 위급 상황을 대비한 훈련인 만큼 적극적인 안내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석현 <br>영상편집 최창규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