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나라 경제 상황 좀 보겠습니다.<br> <br>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모두 낮췄습니다. <br> <br>내수 회복이 더디면서 경기 침체의 길에 들어선 것 아니냐 우려가 나오는 상황입니다.<br> <br>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한국은행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.5%에서 2.4%로 0.1%포인트 하향 조정했습니다.<br> <br>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과 각종 글로벌 투자은행에 이어 한국은행까지 다수의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한국 성장률을 낮춰 잡은 겁니다.<br> <br>한은은 또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2.5%로 0.1%포인트 하향 조정했습니다. <br> <br>성장률과 물가를 동시에 낮춘 건데 내수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우리 경제는 지난 1분기 깜짝 성장을 했지만 2분기에는 내수 부진 탓에 0.2% 역성장을 했습니다.<br> <br>3분기 들어서도 내수 회복은 당초 예상에 못 미칠 전망입니다. <br> <br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] <br>"내수 성장률이 더딘 것이 사실이고 차별화가 되고 있는 면은 사실이기 (때문입니다.)" <br> <br>수출이 한국 경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지만, 고용과 내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. <br> <br>그마나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입니다. <br> <br>올해 7월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50% 이상 증가하며 수출액 증가를 이끌었지만 같은 기간 자동차는 9% 이상 감소했습니다.<br> <br>채널A뉴스 권갑구 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조아라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