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주말인 오늘 요란한 소나기가 내리긴 했지만 무더위는 가시질 않고 있습니다.<br> <br>열대야도 연일 최장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육지뿐 아니라 바다까지 끓고 있는데, 수온이 높아지면서 양식 어류가 떼죽음 당하는 일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> <br>홍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가두리 양식장에 죽은 물고기들이 둥둥 떠다닙니다. <br><br>뜰채로 걷어내지만 끝이 안보입니다. <br> <br>이 지역 수온은 최고 29도까지 웃돌고 있습니다. <br> <br>찬물을 좋아하는 우럭의 경우 수온이 27도가 넘으면 살수 없다보니 그대로 폐사하는 겁니다. <br> <br>참돔과 쥐치 등 다른 어종들도 뜨거워진 바닷물에 시름시름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죽어가는 몰고기를 보는 어민들은 답답합니다. <br> <br>[윤인호 / 양식 어민] <br>"수온이 27도 이상을 찍는 해는 올해 처음 인 것 같고요. 27도 이상 올라가면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습니다." <br> <br>경남 남해안에선 지난 16일 고수온 피해 신고가 접수된 이후 어제까지 1천 575만 마리가 집단 폐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> <br>불과 1주일 만에 역대 최악이었던 지난해 기록을 뛰어넘었습니다. <br><br>피해액은 267억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강원 동해안을 제외한 전국 바다에 고수온 특보가 내려진 상태, <br> <br>전남 남해안과 경북, 제주에서도 양식어류 집단 폐사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폭염의 기세가 꺽이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대로라면 경남 남해안에서만 2천만 마리 이상 폐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[황재동 /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] <br>"(평균) 27도에서 28도가 되고 있습니다. 이달 말 정도까지 폭염이 있을 거라고 전망하고 있어서 고수온도 이달 말까지는 갈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식을 줄 모르는 폭염의 기세에 양식 어민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덕룡 <br>영상편집 형새봄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