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공의에 이어서 간호사들마저 파업으로 의료 현장을 떠나면 의료 공백이 한층 더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> <br>정부는 파업 자제를 호소했지만, 상황은 녹록치 않아 보입니다.<br><br>당장 추석 연휴가 고비입니다.<br> <br>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29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보건의료노조를 향해 대화로 문제를 풀자고 호소했습니다. <br><br>전공의 공백을 메우던 간호사들이 빠져나가면 진료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되고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거라는 겁니다.<br> <br>정부는 응급실, 중환자실 등 필수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응급실 대란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니다. <br> <br>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이른바 '응급실 뺑뺑이'가 벌어지고 있는건데, 지난 9일 새벽 2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친 구로역 사고 때도 부상자가 여러 병원을 전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4분 거리 중증외상센터가 부상자를 받지 못한다고 해 1시간이 지나 국립중앙의료원에 도착했지만 수술할 정형외과 전문의가 없었습니다. <br> <br>병원 두 곳을 더 찾은 뒤 16시간 만에야 수술을 받았습니다.<br> <br>동네 병원들이 쉬는 다음 달 추석 연휴에는 환자가 응급실로 더 몰릴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지난 2022년 추석 연휴 기간 응급 진료 건수는 하루 최대 2만 5천 건으로 평일보다 2배 정도 많았는데 경증 진료가 대부분이었습니다.<br> <br>[이경원 / 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] <br>"(명절에) 아버지·어머니 모시고 와서 건강검진 해달라, 영양제 놔달라는 경우 있거든요. 경증 환자는 못 보거나 진료 지연 생길 수 있지만 중증 환자에 집중해서 진료를 하게 될 수밖에…" <br> <br>의료 공백 상황에서 처음 맞는 명절 연휴이다보니 정부와 의료계 모두 경증 환자는 응급실을 찾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성원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정성원 기자 jungs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