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데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압박 속에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높이면서 금융회사들의 이익 수익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자료를 보면 올해 3분기 4대 금융지주의 순이익 규모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고, KB국민과 신한금융의 경우 역대 최고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초부터 은행들이 가계대출 제한을 위해 대출금리를 인상했지만, 대출이 줄기는커녕 은행들의 예대마진만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상반기 5대 금융지주의 이자이익이 사상 처음으로 25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3분기 순이익도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KB금융과 신한금융이 각각 1년 전보다 12.8%, 13.6%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, 하나금융은 5.1% 증가하고, 우리금융은 6.0%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갑작스레 2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을 7월에서 9월로 두 달 연기하면서 대출 막차 수요가 쏟아지자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상대로 대출 옥죄기에 들어갔지만, 결과는 딴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잡겠다던 가계대출은 오히려 늘어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월 말보다 7조 5천억 원 급증했고, 이달 22일까지 잔액을 봤을 때 이달 증가액은 지난달을 초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대출을 옥죄도록 하자 은행들이 대출이자를 잇따라 인상하면서 오히려 예대마진과 순이익만 증가시켜준 셈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가계부채 급증이 금융시장 안정은 물론 내수 회복까지 제약하는 위험 요인로 부각되자 금융당국이 대출금리 산정에 직접 개입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, 이에 대한 반응도 좋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이인철 / 참조은경제연구소장 : 부동산 거래가 늘고 있고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이면에는 정부 정책, 금융당국의 엇박자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한 이제 불만이 제기되자 이복현 금감원장은 향후 은행권의 금리 산정에 더욱더 개입을 더 세게 하겠다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데요. 그러나 이런 금융당국의 시장 개입은 오히려 또 다른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뿐만이 아니라 관치금융의 논란이 재연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정부가 남 탓을 하기보다는 갑작스런 2단계 스트레스DSR 연기로 대출을 끌어모아 부동산 투자를 하려는 수요를 자극한 점부터 반... (중략)<br /><br />YTN 류환홍 (rhyuh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2619044655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