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식탁 위에 올라오는 우리 바다 생선들이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뜨거워진 바다에 맞춰 양식 어종을 아열대 어종로 바꾸는 작업이 한창인데요. <br><br>기존에 잘 양식되던 우럭이나 광어는 높아진 수온을 버티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홍진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수온이 30도에 육박하면서 양식장에는 폐사한 우럭이 둥둥 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바로 옆 참돔은 활기차게 움직입니다. <br> <br>수온 28도 이상에서 폐사하기 시작하는 우럭과 달리 참돔은 31도까지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올해 8월 동해와 남해의 수온은 최고 31도, 서해 역시 30도까지 치솟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5년 평균보다 많게는 5도 가까이 수온이 상승한 겁니다.<br> <br>뜨거워진 바다로 올해 여름 경남 양식장에서만 1700만 마리 넘게 폐사했습니다. <br> <br>역대 최대입니다. <br> <br>[이윤수 / 경남어류양식협회 회장] <br>"피해금액으로는 약 300억 원 이상으로 피해가 일어났기 때문에 특별재난지구를 선포해서…" <br> <br>양식장 피해가 커지자 국립수산과학원과 경남도는 아열대성 어종인 벤자리 보급을 앞당기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최복기 / 경남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] <br>"최근 고수온 현상으로 경남 지역이 폐사가 너무 발생해서 저희가 적극적으로 추진해서 3년 정도 앞당기기로…" <br> <br>고수온에 강한 참조기, 흑점줄전갱이 대량 양식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뜨거워진 바다에 식탁에 올라오는 우리 바다 생선들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