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장 보러 가면 손이 쉽게 나가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채솟값을 보면 깜짝깜짝 놀라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농작물 가격이 오르는 주요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세계는 기온과 함께 물가도 오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요즘 뉴스에 많이 나오는 '히트 플레이션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'히트플레이션'은 열을 뜻하는 '히트'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입니다. <br /> <br />말 그대로 이상고온 때문에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 식료품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홈페이지에서 기온에 특히 민감한 푸른 잎 채소를 검색해봤더니 <br /> <br />6월에 비해 시금치는 무려 200%, 상추도 137%, 배추는 76%나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앞에 '금'을 붙여야 어울리는 가격이죠. <br /> <br />이런 히트플레이션은 농업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에게는 경제가 휘청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몇 년 전부터 쌀, 올리브, 할라피뇨, 쇠고기, 커피까지 작황 부진으로 거래 가격이 급등하고 있죠. <br /> <br />최근에는 초콜릿의 원료인 코코아와 오렌지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, <br /> <br />이런 품목들을 주로 생산하고 소비하는 나라들 사이에서는 '갑을' 관계가 바뀌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히트플레이션은 갈수록 심화해 2035년에는 여름에 식품 물가가 최대 3.2%p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의 조사 결과, 최근 우리나라 물가 상승분의 약 10% 정도는 이상기후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농산물의 상당수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<br /> <br />만약 다른 나라들이 히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수출을 틀어쥐면 꼼짝없이 큰 타격을 입게 되겠죠. <br /> <br />식량의 무기화가 진행되는 흐름 속에서 대비책을 단단히 세워둬야 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2709175607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