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간호사와 물리치료사 등이 속한 보건의료노조의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임금 단체협약 협상이 타결되면서 파업을 철회하는 병원들이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간호법 본회의 처리가 급물살을 타면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홍 란 기자, 파업을 하지 않기로 한 병원 몇 곳이나 됩니까? <br><br>[기자]<br>모두 7개 병원입니다. <br> <br>국립중앙의료원과 고려대·중앙대·이화여대 의료원 등으로 밤새 협상을 진행한 결과,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이 타결됐습니다. <br> <br>사업장 기준으로는 63곳 중 11곳으로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파업을 철회한 건데요, <br> <br>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조속한 진료 정상화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오늘 저녁 전야제를 시작으로 내일 오전 7시부터 총파업을 예고해 왔습니다. <br> <br>이에 나머지 병원들도 극적으로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지 주목되는데요, <br> <br>파업 철회 기류가 더 확산한다면 전공의 이탈 사태와 맞물려 대규모 의료 대란이 발생하는 사태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이러한 파업 철회 기류에는 급물살을 탄 간호법 논의가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간호법 제정안은 오늘 오전 복지위를 통과했고 법사위를 거쳐 오늘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의사의 의료 행위에 준하는 처치와 시술 등을 하는 진료지원 간호사, 일명 PA간호사의 자격을 법으로 명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. <br> <br>보건의료노조는 "간호 인력의 근무조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 된다"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반면, 대한의사협회는 "전공의 수련 생태계 파괴하는 의료악법이자 간호사를 위험에 빠뜨리는 자충수"라며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정책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