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<p>[앵커]<br>뉴욕시가 북한대표부 사무실 앞 거리 이름을 오토 웜비어를 붙이는 안을 검토 중입니다.<br> <br>오토 웜비어, 북한에 억류됐다 숨진 미국 대학생이죠. <br> <br>저희 채널A 조아라 뉴욕 특파원이 북한대표부를 찾아 입장을 물어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미국 뉴욕에 있는 UN 본부 앞 44번가.<br><br>주 유엔 북한대표부 사무실이 있는 빌딩입니다. <br> <br>뉴욕시는 다음달 초, 이 앞 거리에 '오토 웜비어' 이름을 붙이는 방안을 검토합니다.<br> <br>7년 전, 관광차 방문한 북한에 억류됐다 숨진 미국인 대학생 웜비어를 기리기 위한 겁니다. <br> <br>[오토 웜비어 / 북한 억류 미국인 대학생(지난 2016년 2월)] <br>"제발 제 목숨을 살려주세요. 제 가족에 대해 생각해주세요."<br> <br>주 유엔 북한대표부를 찾아가 봤습니다. <br><br>사무실 앞 거리를 '오토 웜비어길'로 지정하는 데 대한 입장을 묻자, 손사래를 치며 답변을 피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'오토웜비어길’을 만든다고 하는 거에 대해서 입장 있으신지 궁금해서요. 입장 없으세요?)…"<br> <br>거리에 나온 북한 외교관들에게 입장을 다시 묻자, 취재진 접근에 민감한 반응만 보일 뿐 답변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웜비어길 지정은 북한인권단체가 뉴욕시장과 뉴욕시의원 60명에게 서한을 보내면서 5년 만에 재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><br>뉴욕 유엔 본부 인근 외교 공관 거리에는 정치적 상징성을 가진 인물의 이름을 붙인 코너가 곳곳에서 발견되는데요. <br> <br>주 유엔 북한 대표부 건물 바로 맞은편에 위치한 나이지리아 공관 앞에는 나이지리아 민주화 운동가 이름을 딴 코너가 있습니다.<br> <br>[푸르덴스 / 나이지리아 공관 관계자] <br>"그의 이름을 따서 거리 이름을 짓는 건 미국 정부나 뉴욕시가 그를 영원히 기리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> <br>시민들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[프레스턴 / 뉴욕 퀸즈 거주] <br>"뉴요커들에게 북한에서 일어났던 일을 상기시킬 수 있을 거예요."<br> <br>웜비어길 지정 여부는 다음달 4일 주민자치회 동의를 얻은 뒤 시의회 의결을 통해 결정됩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창종(VJ) <br>영상편집 이혜리</p>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