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 첫 대표회담…공동 발표문 ’의료대란’ 포함 <br />"이재명, ’2026년 증원 유예안’ 논의 필요성 언급" <br />"구체적 합의 못 이뤄…내년도 증원은 불가피" <br />여야, ’민생 공통 공약 협의 기구’ 운영 합의<br /><br /> <br />국민의힘 한동훈·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첫 회담에서 의료 공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을 협의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가 함께 공약했던 민생법안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한 협의 기구도 운영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혜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1년 만에 성사된 여야 공식 대표회담은 애초 계획보다 긴 2시간 15분 동안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비공개 협의를 거쳐 공개된 8개 항목의 공동 발표문에선 공식 의제에서 제외됐던 '의료대란' 문제가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[조승래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: 현재의 의료 사태와 관련해 추석 연휴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을 정부에 당부하고 국회 차원의 대책을 협의하기로 했다.] <br /> <br />특히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제안한 '2026년도 의대 증원 유예안'을 빨리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의정 갈등은 의사단체와 정부가 풀 일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온 국민의힘은 당장 내년도 증원은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[곽규택 /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: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 돼야 한다,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부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논의를 할 수가 없다….] <br /> <br />다만, 여야 대표는 금융투자소득세를 비롯한 쟁점 현안을 두곤 간극을 좁히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'딥페이크 성범죄' 처벌 강화와 가계부채 완화, 맞벌이 부부의 육아휴직 연장 같은 민생현안 역시 신속하게 추진하자는 원론적인 공감대만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대표 사이 이견이 없었던 지구당 부활 문제도 합의까지 다다르진 못했고, 한 대표가 제안했던 회담 정례화도 못 박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: 우리 두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 한 달에 한 번이나 두 달에 한 번 정도로 대표회담을 정례화할 것도 제안 드립니다.] <br /> <br />양당의 민생 공통공약을 함께 추진할 협의체 구성이 그나마 눈에 보이는 성과로 남았단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: 협의 기구나 이런 것들을 만들어서 공식적으로, 공개적으로 공통 공약을 처리해 가기를 기대합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혜인 (nahi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90121545341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