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 대표 회담 다음 날인 2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“11년 동안 (여야 대표가) 만나지 못한 대치 상황이었는데, 정치를 복원하고 민생 중심으로 정치하자는 의기투합을 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한다”며 “좋은 출발이 될 수 있을 것”이라고 말했다. <br /> <br /> 한 대표는 이날 오전 당 최고위 회의에서 “이 만남 하나로 모든 게 해결되리라는 것은 너무 순진한 기대”라면서도 “그래도 정치는 계속된다는 걸 국민께 보여드리는 게 여야 대표의 생각이고, 앞으로도 자주 만나겠다”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이날 한 대표는 16분 동안의 모두발언 중 14분가량을 전날 여야 대표 회담 의미를 설명하는 데 썼다. 한 대표는 가계 및 소상공인 지원 방안에 대해 “가능한 대책과 한계에 대해 충분히 대화를 나눴고, 건설적 대안을 내놓기로 했다”고 했고, 저출생 대책을 두곤 “여당에서 낸 여러 패키지 법안에 대해 이 대표가 흔쾌히 ‘이건 하면 좋겠다’고 말해 공감대를 이뤘다”고 했다. <br /> <br />회담에서 합의를 보지 못했거나, 이견이 있는 예민한 주제에 대해서도 이 대표를 향해 날을 세우기보다는 배경 설명에 집중했다. 폐지(한동훈), 완화(이재명)로 의견이 엇갈린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해 한 대표는 “이 대표는 주식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고, 저도 그 점은 동의한다”며 “하지만 그건 중장기의 문제라 저는 당장 올해 하반기, 내년 초의 불안감과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”이라고 설명했다. 의료 사태에 대해선 “민심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 대해 저희가 생각을 같이했다”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74894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