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% 오르며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일부 채소나 과일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, <br /> <br />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어떨지,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진관동 대형마트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물가 상승률이 큰 폭으로 떨어졌는데, 소비자들 반응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이곳 마트는 신선식품을 사러 온 소비자들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통기한이 임박해 싸게 파는 과일이나 우유를 사는 소비자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,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%로 둔화했지만,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 부담은 여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박소화 / 경기 고양시 덕양구 : 일부 품목에 한해서는 저렴하다고 느끼지만,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체감할 정도는 아닌 것 같아요. 채소나 과일은 아직 할인은 하고 있지만, 많이 저렴해졌다고 느끼지는 못하고 있어요.] <br /> <br />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부터 다섯 달째 2%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는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물가 상승 폭이 크게 줄었고, 햇과일이 출시되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된 영향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배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0%, 사과가 17% 올랐고, 김 30%, 배추가 9% 넘게 오르는 등 일부 과일과 채소 등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배추와 무의 경우 지난주부터 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사과값은 평년보다 낮은 수준이라면서, 이번 주 햇배가 출하하면 배 가격도 점차 안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을 위해 20대 성수품을 역대 최대인 17만 톤 공급하고, 7백억 원 규모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물가가 수치로는 안정화했지만,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여전히 높군요. <br /> <br />그래도 다음 달 금리 인하를 기대해볼 수 있는 걸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기상이변 등 추가 충격이 없다면 물가 상승률이 2%대 초반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흐름만 보면, 금리 인하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3.5%로, 지난해 1월부터 열세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. <br /> <br />변수는 가계부채와 부동산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0316093011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