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0월 1일, 국군의날이 임시 공휴일로 지정됐습니다. <br> <br>무려 34년 만인데요. <br> <br>10월 첫 주, 징검다리 휴가가 생겼고 최장 12일 황금연휴도 가능해집니다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다음 달 1일,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오늘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'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지정안'을 의결했고 윤석열 대통령이 바로 재가했습니다. <br> <br>국군의날이 공휴일이 된 건 34년 만입니다. <br> <br>국군이 6·25전쟁에서 38선을 돌파한 1950년 10월 1일을 기념한 날로 1990년까지는 공휴일이었다가 다음 해부터 제외됐습니다.<br> <br>정부는 "국가 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 관심을 높이고 국군의 역할과 장병의 노고를 상기하는 계기"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앞서 여당에서 군 사기 진작에 더해 내수 활성화 차원에서 건의했고 이를 정부가 받아들인 겁니다. <br> <br>[한지아 /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(지난달 25일)] <br>"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것을 정부에 요청하였습니다." <br> <br>국군의날 휴일 지정으로 다음 달 길게는 12일까지 '황금 연휴'도 가능해 집니다. <br> <br>9월 30일에 이어 10월 2일과 4일을 쉬면 9일을 연달아 쉴 수 있고 7일과 8일도 휴가를 내면 12일까지 연휴가 생깁니다.<br> <br>[손성호 / 경기 광주시] <br>"효과가 미약할지라도 국군 장병의 노고를 조금이라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." <br> <br>[시민] <br>"사업주들은 그 비용을 그대로 다 떠안아야 하잖아요. 선심은 정치권이 쓰고 비용은 사업주들이 치르는구나 생각하고 있어요." <br> <br>올해 국군의 날은 건군 76주년을 맞이해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시가행진도 진행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한효준 <br>영상편집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