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덕수 국무총리가 오늘 국회에서 의대 증원과 관련해 2천 명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2026학년도 증원 규모를 조정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, 의료 공백 사태의 책임으로는 전공의를 지목했습니다. <br> <br>홍지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한덕수 국무총리는 의료 공백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에게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] <br>"국민들의 불안은 결국 중증 환자와 난치병 환자를 떠나버린 전공의가 제일 먼저 저는 잘못한 행동을 했다…" <br> <br>다만 2026학년도 의대 증원 규모 2천 명의 조정가능성도 함께 시사했습니다.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] <br>"2천 명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이미 저희가 여러 번 발표했습니다." <br> <br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] <br>"2026학년도에도 의료계가 합리적인 안을 갖고 오면 얼마든지 마음 열어놓고…" <br> <br>의료계가 통일된 증원안을 가져온다는 전제로 한 말이지만, 연초에 한 총리가 직접 2천 명이란 숫자의 근거가 명확하다거나, 최소 숫자라고 말했던 것을 감안하면 한층 여지를 남겨둔 겁니다. <br><br>현재의 응급의료체계에 어려움은 있지만 유지가 가능하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현실 인식 부족이라고 질타했습니다. <br><br>[정일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국민들이 저렇게 응급실도 못 가서 불안해하고 아프면 어떡하느냐고 걱정이 태산인데 총리님께서는 별반 걱정을 안 하셔서…" <br> <br>의료 사태 책임을 물어 복지부 장관의 해임을 건의하라고 압박했지만, 한 총리는 "지금은 의료 개혁을 할 때"라며 "사람을 바꿀 때가 아니다"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홍지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