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의사 부족으로 응급실 의료 대란이 우려되자 응급의료센터에 군의관 15명을 파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실제 응급실 진료에 바로 투입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인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김기수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세종 충남대병원 응급실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에서 지역 응급의료센터에 군의관을 파견했는데요. <br /> <br />곧바로 응급실 진료에 투입되지는 않는 상황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부가 세종 충남대병원에 파견한 군의관은 모두 두 명입니다. <br /> <br />군의관들은 오늘 오전 9시부터 출근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는 바로 응급실 진료에 투입되진 않고, 어느 수준까지 진료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세종 충남대병원은 응급실 인력을 포함해 피부과와 안과, 신경외과 산부인과 등 모두 6명의 군의관 인력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당장 의료 공백이 생기고 있는 응급실에 인력이 우선 파견된 겁니다. <br /> <br />세종 충남대병원 응급실은 12명의 전문의가 상주하면서 24시간 운영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달 전문의 한 명이 빠지면서 매주 목요일 성인 야간 응급의료가 중단됐고, 이달부터는 4명이 추가로 사직하면서 평일 성인 야간 응급의료가 완전히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야간에 성인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병원 측은 군의관이 투입된다고 해서 바로 진료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, 실제 진료에 들어가기까진 며칠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투입되는 군의관보다 빠진 인력이 더 많아, 멈춰선 성인 야간 응급의료가 완전히 정상화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세종 충남대병원을 포함해 충북대병원과 강원대병원, 이대 목동병원, 아주대병원에도 군의관이 투입됐는데요. <br /> <br />응급실 진료 제한 등 의료 공백을 당장 해소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세종 충남대병원 응급실에서 <br /> <br />YTN 김기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기수 (energywater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90411454215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