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의료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, 이제 의료계의 결단만 남았습니다. <br> <br>여전히 의료계가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서 정치권에선 여야정 협의체를 우선 구성하는 방안이 유력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의료계는 당장 다음주부터 시작되는 내년도 입시부터 원점 재논의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, 좀처럼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소식, 조민기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의료계를 향해 2026년 이후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한 대안을 내라고 거듭 압박했습니다. <br><br>국무조정실은 "의료계가 계속해서 의견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재논의는 불가하다"고 못박았습니다.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협의체에 안 들어오면 의료계 요구가 반영 안 되는데 결국 들어올 수밖에 없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국민의힘도 참여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[송영훈 / 국민의힘 대변인] <br>"환자와 환자 가족들이 대화가 시작되기를 간절히 고대하고 있습니다. 지금은 그분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국민의 부름에 응답할 때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의료계가 요구하는 2025년도 의대 증원 유예에는 정부·여당 모두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관계자는 "당장 이틀 뒤부터 대학 수시모집이 시작되는데 내년 증원을 재검토할 수는 없다"고 잘라 말했습니다.<br> <br>더불어민주당은 "시작도 하기 전에 의료계 기선 제압에 나서는 거냐"고 질타했습니다. <br> <br>[한민수 / 더불어민주당 대변인] <br>"의료계를 향해서 구체적인 안을 가져오지 않으면 협의를 안 할 것처럼, 또 협의체를 가동하지 않을 것처럼 하는 그런 정부의 태도가 맞나…" <br> <br>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"전공의들은 2025년에 증원을 하면 늘어난 시설, 교수 때문에 2026년에도 증원을 할 거라 생각한다"며, "2025년을 조정해줘야 전공의들이 돌아올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대한의사협회도 "2025년 의대 정원 원점 재논의가 불가한 이유과 근거는 도대체 무엇이냐"고 반문했습니다. <br><br>정부·여당은 의료계 참여가 없더라도 늦어도 다음 주 협의체를 가동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민기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김재평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조민기 기자 mink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