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아파트 월세 가격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. <br> <br>강남 뿐만 아니라 마포, 종로, 서대문구에도 월세 1천만 원 짜리 집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출 규제로 매매와 전세 거래가 줄어들면 월세 값이 더 오를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유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마포구의 300여 세대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> <br>올해 초 이 아파트에서는 전용면적 84㎡ 월세가 1425만 원에 거래됐습니다. <br> <br>영끌 광풍이 일었던 2021년 이후 마포구에선 처음 나온 1000만 원대 월세입니다.<br><br>올해 들어 서울에서는 2000만 원 넘는 아파트 월세도 10건에 달했습니다.<br> <br>이처럼 초고가 월세가 연달아 등장하며 서울의 월세가격 지수는 지난달 116.1을 찍으면서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서울 집값이 꿈틀대기 시작하던 지난 6월부터 월세 지수의 증가폭이 세 배 가까이 커졌습니다.<br> <br>서울 아파트 월세 매물이 1년 전보다 19% 줄며 물량이 잠긴데다 집값 오름세를 잡으려는 당국의 주문 속에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까지 옥죄자 매매와 전세 수요가 월세로 연쇄적으로 이동하며 덩달아 값이 뛰는 겁니다. <br> <br>[권일 /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] <br>"전세대출까지 막히고 있는 상황이고, 입주 물량이 내년부터 줄어드는 형태로 들어가거든요. 월세도 같이 동반 상승하는 상황이 <br>(계속) 나올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집값 잡으려 대출 규제가 강해져도 실수요자들은 자금을 다른 곳에서 끌어오는 풍선효과만 불러온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이달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사흘 만에 4700억 원 늘면서 1주택자 취급 제한 등 문턱이 높아진 주담대 증가폭을 2배 넘게 앞질렀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기섭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