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2026학년도 의대 증원 문제를 다시 논의할 수 있단 대통령실의 태도 변화에도 의료계는 냉담하기만 합니다. <br> <br>특히 사직 전공의들은 여전히 신뢰할 수 없단 분위기입니다. <br><br>장하얀 기자가 직접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><br>[기자] <br>큰 강의실에 병의원에서 쓰는 초음파 기계가 배치됐습니다. <br> <br>사직 전공의들에게 사용방법을 교육하려고 대한의사협회가 준비한 실무 강좌입니다. <br> <br>오늘 강좌에 참여한 사직 전공의는 167명. <br> <br>반년 넘게 지속된 의정갈등을 '여야의정 협의체'로 풀겠다고 정부와 여당이 한발 물러섰지만 사직 전공의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. <br> <br>[사직 전공의(정형외과)] <br>"일시적으로 위기를 넘기려는 그런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에 크게 진정성은 없다고 느낍니다. 아무리 말을 해도 깨닫지 못하면 느껴봐야 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서." <br><br>자신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환자들이 고통을 겪는 걸 알지만 불신과 분노가 여전히 깊은 겁니다. <br> <br>[사직 전공의 (마취통증과)] <br>"마음이 좋지 않지만 정부가 이걸 알고 있고 그럼에도 태도를 바꾸지 않는 것에 대한 분노가 큰 것 같아요. 변화가 없다면 (수련병원에) 돌아갈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대한의사협회도 협회 차원에서 사직한 전공들의 교육기회를 계속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[임진수 / 대한의사협회 기획이사] <br>"전공의 선생님 힘든 시간 겪고 있는데 다양한 방법 통해서 지원해줄 수 있지 않을까. 이것 말고도 내과 복부 초음파, 경동맥 갑상선 초음파이런 실전 강의랑 이론 강의랑 병행해서…." <br> <br>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마음을 여는 일이 여야의정 협의체의 내실있는 성과를 위한 우선 과제가 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사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