체온 조절 못 하는 모기, 대사량 빨라져 수명 감소 <br />지열 크게 오른 올해, 모기 산란체 감소 환경 <br />초가을 접어들며 채집 모기 개체 수 증가<br /><br /> <br />기록적 폭염을 보였던 여름에 잘 안 보이던 모기가 초가을 들어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일본뇌염 매개 모기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김정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독했던 폭염과 극한 호우가 지나간 올여름, 모기 개체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찜통더위가 한창이던 7, 8월 2달간,전국 11개 시·도, 13개 축사에서 채집된 모기 개체 수는 평년 같은 기간 평균치보다 20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모기는 스스로 체온 조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기온이 계속되면 대사 작용이 지나치게 빨라져 수명이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한낮 폭염에 기록적인 열대야까지 보였던 올여름엔 특히 지열이 크게 올라 땅에 생긴 물웅덩이나 개울이 금세 말라붙은 것도 원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규 /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 : 폭염이 되니까 지열이 굉장히 오르죠. 50도 가까이 올라가니까 물웅덩이들이 금방 말라버립니다. 그렇게 되면 수소 곤충인 모기 유충이나 알 같은 것들이 살 수가 없죠.] <br /> <br />반면 초가을에 접어든 최근 채집된 모기 개체 수는 과거보다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5일부터 31일까지 일주일 집계를 보면 725마리가 채집돼 평균 평년 치의 583마리보다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모기가 좋아하는 기온으로 내려온 데다 비도 적당히 내려 지열이 떨어졌고, <br /> <br />최근 일본 뇌염 매개 모기가 많이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9일에는 올해 들어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본뇌염 환자 2명이 동시에 확인돼 방역 당국은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주혜민 <br />디자인;전휘린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정아 (ja-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0723012378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