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강남권의 고가 아파트에서 몇달 새 최고가 기록을 경신하는 신고가 거래 행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대출규제에도 아랑곳 없이 상급지로 이동하려는 갈아타기 수요는 거세다는 분석입니다.<br> <br>보도에 장호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소위 '국민 평형'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제곱미터가 55억 원에 거래됐습니다. <br><br>역대 최고가입니다. <br><br>인근의 또 다른 아파트도 39억8천 만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갈아 치웠습니다. <br> <br>강남구 대치동과 압구정동의 동일면적 아파트 역시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.<br><br>서울 서초구의 경우 지난 7월 최고가 비중이 34%로 25개구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. <br> <br>강남구 역시 지난달 35%를 기록했는데요. <br> <br>이들 지역의 아파트 매매 계약 3건 중 1건이 최고가 거래인 셈입니다. <br> <br>대출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도 최정점 지역으로 소위 '주택 갈아타기' 심리가 작용한 것이란 분석입니다. <br> <br>[박원갑 / KB부동산 전문위원] <br>"15억 초과 대출규제가 풀리면서 (40대들의 강남권) 고가주택 갈아타기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게 집값 상승을 주도했다고 보면 되고요." <br><br>영끌바람이 불며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던 2021년과는 다른 모습입니다. <br> <br>당시에는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노도강에서 아파트 거래가 할발하고 가격 상승폭이 컸습니다. <br> <br>15억 초과 주택에는 대출이 불가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2년 전부터 무주택자와 기존 주택을 처분하는 1주택자는 15억 초과 주택에도 대출이 가능해졌습니다. <br> <br>이에 마포·용산구에 집을 소유하고 있던 연봉 1억 원 이상의 40대 고소득 수요자들이 주택을 갈아타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실제로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15억원 초과 주택의 비중은 20.45%로 크게 증가했습니다.<br> <br>다만, 9월부터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지는 만큼 일시적으로 수요가 둔화되며 숨고르기 양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호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장호림 기자 holi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