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가을이 무색하게 더위가 식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제주에선 열대야가 역대 최장인 63일을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올 더위는 추석 연휴까지 기승을 부릴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해가 서서히 저물고 어둠이 일대를 감쌉니다. <br> <br>하지만 사람들은 해변을 떠날 생각이 없습니다 <br> <br>바닷가를 거닐며 시원한 바닷바람에 더위를 식힙니다. <br> <br>야외에서 먹는 저녁은 그야말로 꿀맛, 농구대에 모여든 아이들은 모처럼 공놀이에 신이 났습니다. <br> <br>야시장에도 더위를 피해 모여든 사람들로 발디딜 틈이 없습니다. <br> <br>[김은정 / 제주 제주시] <br>"저희가 여기 10년을 넘게 살면서 이렇게 더웠던 적이 없는 것 같아요.” <br> <br>밤에도 열기가 식지 않으면서 제주지역 열대야는 연일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. <br><br>제주시에선 관측 이래 역대 최장인 63일을 기록했고, 서귀포도 56일로 2013년 발생한 57일 기록 경신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<br><br>전국도 폭염에 몸살입니다. <br><br>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경남과 전남 일부엔 폭염 경보가 발효됐습니다. <br><br>9월에 폭염경보가 발령된 건 2020년 들어 처음입니다. <br> <br>추석이 성큼 다가왔지만 여름철 쓰던 양산이 여전히 필수품이 됐습니다. <br> <br>[권소정 / 서울 마포구] <br>"가을인데 햇볕이 너무 뜨겁고 더워서 양산 쓰고 나왔어요." <br> <br>늦더위가 이처럼 기승인 건 한반도 주변 고기압 때문입니다. <br><br>대기 상층엔 티베트 고기압이, 아래쪽엔 북태평양 고기압이 자리해 열기를 가뒀고, 고온다습한 공기가 계속 유입되면서 기온을 끌어올렸습니다. <br><br>[우진규 / 기상청 통보관] <br>"북대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의 움직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이번 주 내내 더위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" <br> <br>기상청은 지금 같은 더위가 추석 연휴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한익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배영진 기자 ic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