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전자의 반도체 핵심 기술을 중국으로 빼돌린 혐의로 삼성전자 전 임원과 연구원이 구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유출된 기술의 경제적 가치가 4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윤현숙 기자! <br /> <br />문제가 된 기술이 어떤 것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삼성전자가 가지고 있는 20나노급 D램 메모리 반도체의 공정 단계별 핵심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이 기술을 유출하고 부정하게 사용한 혐의로 삼성전자 전 임원 최 모 씨와 전 수석연구원 오 모 씨를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에게는 산업기술 유출방지법과 부정경쟁방지법 등의 혐의가 적용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 조사에 따르면 최 씨는 2020년 9월 20나노급 D램 반도체 제조를 목표로 중국에 회사를 세웠고 이후 반도체 기술자인 오씨가 여기에 합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중국 지방정부가 회사 자본을 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제조시설을 갖춘 뒤 삼성전자의 반도체 핵심 공정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해 1년 3개월 만에 시범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반도체 회사들이 통상 4~5년 정도 걸리는 신제품 개발 기간을 삼성전자 기술을 빼돌려 활용하면서 크게 단축 시킨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이렇게 중국에 유출된 반도체 기술의 경제적 가치가 무려 4조3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경제 효과 등을 감안하면 실제 피해 금액은 가늠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사건은 국내 기술자 한두 명이 중국으로 이직하는 수준을 넘어 삼성전자의 반도체 관련 핵심 인사들이 중국 지방정부와 합작해 현지에 회사를 차리고 생산까지 시도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의 피해는 물론 세계적인 반도체 기술 패권 전쟁 상황에서 우리나라 경제 안보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게 경찰의 판단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중국에서 운영하던 회사는 D램 개발에 성공한 후 수율을 높여가는 단계였는데 이번 수사 영향으로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구속된 최 씨와 오 씨 외에 이 회사로 이직한 국내 반도체 회사 출신 임직원을 추가로 입건해 관련 혐의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윤현숙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현숙 (hwangb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1015045340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