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하지만 의정갈등, 주체는 떠난 전공의와 정부, 대통령실이죠. <br> <br>대통령실은 2025학년도 정원도 논의는 할 수 있지만 조정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전공의들도 시큰둥한데요, 대화 대신 정부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정성원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은 의료계의 대화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2025학년도 증원도 언급될 수는 있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다만, 조정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채널A에 "한동훈 대표도 우선 들어와서 얘기하자는 거지 '2025학년도 유예할테니 들어오라'는 것은 아니지 않냐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의대 수시 접수가 어제부터 시작된 만큼 사실상 내년도 정원에는 손댈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<br>교육부가 공개한 의대 수시 모집 경쟁률은 어제 기준 1.14대 1로 첫 날부터 모집 인원을 넘어섰습니다.<br><br>사직 전공의들은 2025학년도 증원 계획을 백지화해야 대화에 참여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사직 전공의 900여 명은 어제 정부를 상대로 140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. <br><br>정부가 지난 2월 각 병원에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내리고 이를 철회한 6월까지 개원이나 전직을 할 수 없게 돼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는 겁니다.<br> <br>[강명훈 / 법무법인 하정 대표변호사] <br>"사실상 근로를 강제한 것이고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한 위법한 행위입니다. 이 때문에 전공의들은 수개월 동안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을 갖지 못하게 됐고요." <br><br>한 의료계 관계자는 "대통령실이 의대 수시 모집을 이유로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서 정부를 향한 전공의들의 불신이 더 커졌다"고 우려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정성원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정성원 기자 jungs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