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공연·스포츠 경기 ’암표 거래’ 속출 <br />매크로 프로그램으로 좌석 선점 후 재판매 수법 <br />국민권익위원회, 암표 거래 근절 방안 권고 <br />매크로 사례 한해 처벌하는 현행법 실효성 낮아<br /><br /> <br />유명 가수 티켓 암표 가격이 500만 원까지 치솟는 등 공연이나 스포츠 경기 암표 거래가 큰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암표상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국민권익위원회가 모든 웃돈거래를 처벌하고 신고 체계를 개선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하반기 판매된 임영웅의 전국 투어 콘서트 VIP석 가격은 16만5천 원. <br /> <br />하지만 온라인상에 올라온 암표 가격은 정가의 30배가 넘은 500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 열린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개막전 티켓의 암표는 400만 원을 기록했고, '롤드컵' 결승전도 암표 거래가 속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암표상들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좌석을 선점한 뒤 예매 직후 중고거래 플랫폼에 재판매하는 등 점점 전문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국민권익위원회가 부정거래 근절 방안을 마련해 문화체육관광부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크로를 이용한 경우에 한해 처벌하는 현행법의 실효성이 낮다는 점을 고려해, 이를 보완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[유철환 / 권익위원회 위원장 : 매크로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상업적으로 입장권을 웃돈 거래하는 것을 전면 금지할 것과 암표 수익에 대한 몰수 추진 규정의 신설…] <br /> <br />이와 함께 권익위는 형사 처벌을 현행 징역 1년, 벌금 1,000만 원 수준보다 강화하고 법 위반 정도에 따른 처벌 수위를 차등화하는 방안도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암표 신고 처리를 담당할 기관을 지정해 신고 체계를 개선하고, 명확한 부정판매 판단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철환 / 권익위원회 위원장 : 현행법은 부정판매의 기준을 자신이 구입한 가격을 넘는 금액으로 재판매한 경우로 보고 있습니다. 그러나 실제 관람객들이 구입한 가격은 개인마다 제각각으로, 신고 단속 적발 시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합니다.] <br /> <br />암표 피해는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체부에 따르면 공식 신고된 공연 암표 건수는 2020년 3백여 건에서 2022년 4천2백여 건으로, 2년 새 11.8배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고민철 <br />영상편집 :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91217080962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