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료계는 갈라졌습니다. <br><br>참여 단체 자격을 두고 내부에서 옥신각신하는 중입니다. <br> <br>홍란 기자가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 요청을 받은 의료단체 15곳, 전체 입장을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이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를 요청한 의료단체는 15곳입니다. <br> <br>참여 의사를 물어보니 병원장 등으로 구성된 수련병원협의회와 상급종합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3곳은 긍정적 반응입니다. <br> <br>반면, 7곳은 부정적이거나 정부의 입장 변화를 요구했고 참여에 긍정적이었던 한국의과대학·의전원협회는 답변을 보류했습니다.<br> <br>대한의사협회와 전국의대교수비대위는 불참 의사를 명확히 밝혔고 대한전공의협의회도 참여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여당이 개별적으로 접촉해온 15개 단체의 이름이 공개되면서 내부 분란 조짐도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협상 테이블에 같이 앉을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[김성근 /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대변인] <br>"현재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2025학년도 정원을 얘기할 때에는 그런(병원장) 단체들은 좀 부적절하다는 의견들이 꽤 있습니다." <br> <br>[최창민 / 전국의대교수비대위 위원장] <br>"조만간 병원장에 대한 소송도 시작하는 데도 있고, (병원이) 전공의들 사직을 다 수리했기 때문에… 그런데 같이 논의하자고 그러면 잘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." <br> <br>핵심은 전공의·의대생들인데 사용자인 병원장들과는 입장이 너무 다르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환자단체도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의료정책에 직접 영향을 받는 건 환자인데 협의체에 환자를 빼서는 안된다는 겁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