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군의관 장기복무 희망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10년 넘게 반복되는 현상인데, 군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자체 전문 의료 인력을 기르는 학교를 세워야 한단 의견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의정갈등이 장기화하고 있어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라는데 구체적인 내용, 임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5월, 세종시에 있는 한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폭발 사고로 병사 1명이 숨지고, 간부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<br /> <br />지난해엔 경기 양주시 부대에서 사격 훈련 도중 병사 1명이 총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지만, 결국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군 의료 특성상 총상이나 파편상 등 중증 외상 환자가 많은 건데, <br /> <br />정작 이에 대응할 전문 인력의 안정적인 확보는 어려움을 겪고 있단 지적이 적잖습니다. <br /> <br />군의관 2,400여 명 가운데 10년 이상 복무하는 장기 군의관은 200명 남짓, 7~8%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나머진 3년 정도 복무하는 단기 군의관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역시, 장기 복무를 지원한 군의관은 전혀 없는 거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10년 넘게 매해 지원자가 없거나, 한 자릿수를 기록한 전례가 반복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현실적으로 민간 의사와 비교되는 처우 탓이 큰데, '단기 복무'마저 일반 병사와 비교해 복무 기간이 2배 이상 길어지면서 군의관 자체를 선호하지 않는 현상까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가칭 '국방의대' 설립을 검토하던 군은 최근 연구 용역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(지난 5월) : 국방부는 군 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서 장기 군의관 확보, 또 군 병원 특성화 등을 추진하고 또 검토를 해왔습니다.] <br /> <br />정치권에서도 '국군의무사관학교'를 추진하는 법안이 발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관학교 6년 교육 과정을 마친 뒤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중위로 임관하고, 15년 동안 의무 복무토록 하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일본 등에서 이미 군의관 양성 기관이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현실성은 충분하단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성일종 / 국회 국방위원장, 국민의힘 : 유사시를 대비할 수 있는 의사가 턱없이 지금 부족한 상황입니다. / 군은 늘 준비가 돼 있어야 합니다. 그리고 군에 대한 시스템은 국가를 방위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것보다도 우선의 가치가 있어요.] <br /> <br />또 군에서 자체 의료자원을 배출하게 되면, 기존에 군의관에 지원할 인력이 미달 사태를 면치 못하는 공중보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91504573438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