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복사냉각'은 에너지 사용 없이 표면 온도를 낮춰,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페인트, 섬유 등 다양한 소재에 복사냉각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소모량을 크게 줄였습니다. <br /> <br />박나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똑같은 크기의 냉동창고 두 동에 열화상 카메라를 비춰보니 표면 온도가 10도 이상 차이 납니다. <br /> <br />고려대학교 연구진이 만든 냉각페인트를 이용해 표면 온도를 확 낮춘 겁니다. <br /> <br />이 냉각페인트는 높은 태양광 반사율을 가져 1평방미터당 100와트의 냉각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일반 페인트나 기존의 차열 페인트와 비교했을 때 냉각 페인트의 온도가 현저히 낮습니다. <br /> <br />모든 물체는 전자기파 형태로 복사열을 방출하는데, <br /> <br />복사냉각 기술은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흡수·반사하고 적외선 방출을 극대화해 자체의 열을 외부로 내보내 전기에너지 없이도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헌 /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: 냉각 페인트를 칠했을 경우에는 표면 온도가 칠하지 않은 것보다 낮아지게 되니까, 내외부의 온도 차이가 작아지게 돼서 그만큼 열이 덜 들어오게 됩니다.]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 같은 특성으로 복사냉각이 차세대 기술로 꼽히면서, 연구진은 페인트를 넘어 옷감이나 헝겊 같은 형태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합성수지로 만든 섬유에 세라믹 입자를 넣어 들어오는 태양광을 반사해 냉각하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투명 복사냉각 필름도 개발 중인데, 자동차의 유리 등에 적용하면 여름철 차 안 실내온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복사냉각 소재에 대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에너지 소모와 탄소배출을 줄이는 데 앞장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사이언스 박나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취재 : 황유민 <br />디자인 :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나연 (p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91604244689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