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경부와 울산시가 자연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울산 지역 회야댐에 수문 설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몰 지역 이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사정인지, JCN 울산중앙방송 전우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환경부와 울산시가 공동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에 대처하기 위해 회야댐에 수문을 설치하는 계획을 밝히는 주민 설명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 설치된 댐에 수문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어서 별다른 민원이 없을 것으로 예상됐지만, 뜻밖에 주민 반발은 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댐 인근 주민 A : 시에 가면 상수도사업본부 가 봐라, 사업본부에 가면 회야댐 정수장에 가봐라. 사람을 이렇게 돌려서 진을 빼도록 만들었어요, 지금까지."] <br /> <br />[댐 인근 주민 B : 공청회 연기합시다. 연기하고!] <br /> <br />이들은 댐 조성과 함께 40여 년간 물에 잠긴 고향 땅을 바라보며 가슴 아파하던 댐 주변의 실향민들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댐으로 인해 실향과 함께 재산권 피해를 입어왔는데도, 이제 또다시 수문을 추진하면서 자신들에겐 사전 설명이 전혀 없었다는 게 불만의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설명회는 30여 분간의 실랑이 끝에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몰 지역 이주민들에 대한 아픔을 달래기 위한 치유와 소통 노력은 풀어야 할 숙제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1986년 완공된 현재의 회야댐은 댐에 고인 물이 만수위인 높이 31.8m를 초과하면 여수로를 통해 방류되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홍수나 폭우 발생 시 댐 용수의 손실은 물론 댐 하류 하천 범람으로 인한 재해를 유발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수문 설치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, 환경부는 주민 의견 수렴 등의 과정을 거쳐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중 최종 대상지 10곳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현 / 환경부 사무관 : 지역과 공감대가 형성된 후보지 안에 이 하천유역계획의 후보지로서 먼저 반영이 되고, 그 이후에 기본구상이나….] <br /> <br />울산시는 최종 대상지 선정 이후 타당성 조사·실시계획 수립 등을 거쳐 오는 2029년까지 사업을 완공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전체 사업비는 국비 900억 원과 시비 100억 원 등 총 천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대응댐 최종 대상지는 이번 주민 설명회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JCN 뉴스 전우수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박민현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전우수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91623163794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