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'도로 위 지뢰'라고까지 불리는 땅 꺼짐 사고가 잇따르며 시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전에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조처하는 게 가장 중요한데, 탐지 인력이나 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거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박정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로를 달리던 차량이 기우뚱하더니 순식간에 땅 밑으로 끌려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말 서울 연희동 도로에서 갑자기 땅 꺼짐이 생기며 달리던 차가 빠졌고 2명이 크게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에도 불과 열흘 남짓한 기간 서울 청운동, 안암동 등에서 연달아 땅 꺼짐 사고가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땅 꺼짐 사고는 해마다 190건 정도 발생하는데, 최근 4년간 인명피해도 사망 1명을 포함해 30명을 훌쩍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땅 꺼짐은 지형과 강우, 매설물 등 복합적 요인들이 결합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, 위험 지역을 선별하고 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반복적인 조사를 통해 지하의 빈공간인 '공동'을 찾아내는 건데,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지반 탐사로 레이더 장비를 이용해 땅속을 들여다보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표투과레이더를 활용하면 지하 2m까지 공동을 찾아낼 수 있는데, 지반 탐사 범위가 넓어지며 실제 땅 꺼짐 발생도 조금씩 감소 추세로 접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지반탐사를 위한 전문 인력과 장비가 충분치 않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현재 국토부 직원 12명이 기계 8대로 전국을 다니고 있는데, <br /> <br />상황이 이러다 보니 집중호우로 지반이 가장 약해지는 장마철 이전까지 전체 도로의 10%도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내년까지 장비를 11대로 늘리고 인력도 20명까지 확충한다는 계획이지만, <br /> <br />우선 조사를 해야 할 고위험 지역조차 제대로 선별되지 않는 등 내부적으로 필요한 인력과 장비 규모도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[김희정 / 국민의힘 의원 : 싱크홀은 언제 어디서 나에게 닥칠 수 있는 커다란 위험입니다. 그래서 전문 인력을 확충하고 전문 장비를 통해서 지반 탐사를 확실히 해야지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계속되는 사고로 시민 불안이 커지자 국토부는 부랴부랴 태스크포스를 꾸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탐사 범위 확대, 점검주기 단축 등 보다 실효적인 대비를 위해선 관련 예산과 인력, 장비 확충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정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이성모, 한상원 <br />영상편집 : 연진영 <br />디자인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정현 (miaint312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9170503122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