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끝나지 않는 더위에 오늘도 에어컨 못 끄는 집 많으시죠.<br> <br>그런데 이달엔 같은 양을 사용해도 여름보다 전기요금이 더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. <br> <br>대체 무슨 이유인지, 임종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> <br>[기자]<br>전례 없이 더운 날씨가 이어지자 9월 중순에도 피서에 한창입니다. <br> <br>아이들은 분수대에서 뛰놀고 흐르는 물에 발을 담가 더위를 식힙니다. <br> <br>추석인 오늘 서울의 체감온도는 최고 34도를 기록하며 폭염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가시지 않는 더위에 에어컨을 끄지 못하는 시민들은 벌써부터 9월 전기요금 걱정이 앞섭니다.<br> <br>[김민수·김정윤 / 서울 동작구] <br>"오늘도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아이가 덥다고 에어컨 틀어달라 해서 바로 켰고요. (전기요금이) 평소 달에 비해서 많이 나오니까 좀 부담스럽습니다." <br> <br>서울에서 9월 폭염이 발생한 건 기록이 존재하는 1973년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이달 들어 열대야도 벌써 6차례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여름인 7~8월에만 한시적으로 전기요금 누진세를 완화해줍니다. <br> <br>따라서 이번달부턴 4인 가구 평균 사용량을 써도 7~8월보다 전기요금이 약 1만7천원 더 비싸지고 조금 적게 사용해도 비슷한 가격이 책정됩니다.<br> <br>이런 가운데 7년째 멈춰있는 여름철 전기료 책정 기준도 조정이 필요하단 의견이 나옵니다.<br> <br>2020년 4인가구의 평균 사용량이 최고 구간에 근접했고 올해는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><br>고물가 속 폭염과 열대야까지 이어지며 시민들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임종민 기자 forest13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