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정 갈등으로 인한 전공의 이탈로 추석 연휴 기간 '응급의료 대란' 우려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다행히 큰 불상사 없이 고비를 넘긴 거로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지역에서 보고된 치료 거부 사례는 전공의 부재가 아닌 고질적인 '필수 인력 부족'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의정 갈등으로 추석 연휴 전 '응급실 대란' 우려가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 이탈로 권역·응급 의료센터 의사 수가 4백 명 이상 줄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다행히 연휴 기간 응급의료체계가 일정수준 유지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 : 연휴 전에 일부에서 우려했던 거와 같이 의료공백으로 인한 큰 불상사나 큰 혼란은 없었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이는 의료현장에서 헌신한 의료진과 구급대원 등의 노력 덕분이라고 추켜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또 중증이 아니면 응급실 대신 가까운 동네 병·의원을 찾은 국민에게도 고마움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추석 연휴 기간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하루 평균 27만여 명으로, 지난해 추석 때와 비교해 31% 감소한 거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역별, 혹은 특정 시간대별로 진료에 시간이 소요돼 환자와 가족들이 어려움을 겪은 사례들이 보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병원 70여 곳에서 거부당한 청주 임신부와 4곳에서 치료를 거부당한 광주 손가락 절단 환자 사건 등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고형우 / 보건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 : 나머지 16개 병원은 진료과 부재, 외과수술 등으로 수용이 곤란하다고 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, 수용 거부 사태가 고위험 전문 분야 진료이거나 주로 비수도권에서 벌어졌다며, 전공의 이탈이 아닌 고질적인 '지역 필수 인력 부족'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의료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려했던 '응급실 대란'은 피했지만, 의정 갈등이 계속 평행선을 달리면서 국민의 진료 불안 '전전긍긍'도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문석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:고민철 <br />영상편집:정치윤 <br />디자인: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문석 (mslee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1818513712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