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박석원 앵커 <br />■ 화상중계 :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퀘어 10AM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지지율이 동률을 보이며그야말로 초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. 50일도 남지 않은 미국 대선 판세,전문가와 함께 알아보죠.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,연결돼 있습니다. 교수님 나와 계시죠? <br /> <br />[민정훈] <br />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 <br />지난 1일 토론 보셨죠? <br /> <br />[민정훈] <br />봤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당시에 보면 해리스 부통령이 시험은 잘 봇 것 같은데 실제 성적표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. 지지율 상승 효과는 못 본 겁니까? <br /> <br />[민정훈] <br />그렇지는 않은 것 같아요. 토론회의 결과가 지지율 얼마나 반영되느냐, 이걸 보면 그렇게 크게 반영되는 건 아니에요. 3% 내외 정도밖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고려해 본다면 해리스 후보가 TV토론을 잘한 것의 분명한 긍정적인 영향은 받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. 왜냐하면 평균을 낸 사이트들을 보면 TV토론이 10일날 개최됐잖아요. <br /> <br />그 이후에 실시된 여론조사를 보면 한 10개 정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한 8개 정도는 해리스 후보가 앞서는 걸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앞서는 정도가 2%에서 5% 정도까지 차이가 나거든요. 그러니까 과거에 비해서 한 2% 내외 정도 증가했다고 볼 수 있거든요, TV토론 전과 비교하면. 그렇다면 이번 TV토론을 통해서 해리스 후보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다, 이렇게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초박빙 단계에서 어느 정도 카멀라 해리스 후보 쪽으로 어느 정도 지지율이 쏠리는 현상은 분명하게 있었다, 이런 분석을 해 주셨는데 그런데 해리스 부통령의 비호감도도 상승을 했거든요. 이건 왜 그런 겁니까? <br /> <br />[민정훈] <br />그건 지켜봐야 될 것 같아요. 아무래도 해리스 후보 같은 경우에는 갑자기 민주당 후보가 되면서 급상승했잖아요. 그렇기 때문에 호감도가 바이든 대통령에 비해서 높았기 때문에 그러한 혜택을 본 게 있고요. 그러한 초기의 거품이 조금 빠지면서 해리스 후보에 대한 비호감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반면에 트럼프 전 대통령 같은 경우에는 바이든 후보와 경쟁했을 때보다 해리스 후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92010513310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