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족을 간병하느라 직장까지 그만두는 사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오랜 간병 끝에 범죄까지 저지르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, <br /> <br />복지서비스를 공급하는 단계에서부터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신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뇌성마비와 호흡기 장애가 있는 18살 딸을 키우는 조지연 씨. <br /> <br />수술과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입원시켜야 할 때가 많은데, 결국 간병 때문에 직장을 그만둬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지연 / 중증장애인 보호자 : 척추가 틀어진다든가 고관절이 틀어진다든가 하는 식으로 수술을 연이어서 다섯 차례 정도 받았거든요. 안정적으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맞벌이를 해야 하는 환경이었지만 그것도 쉽지 않았습니다.] <br /> <br />딸이 자라날수록 증상은 더 많아지고 심해졌지만,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때 이용하지 못한 적이 많았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어디에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찾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찾았다 해도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번번이 좌절하기 일쑤였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지연 / 중증장애인 보호자 : 어떤 (복지) 사업이 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은 거의 없습니다. 병원에서도 이 아이의 통합 간병은 불가능하다고 말씀하셨고…. 환경 자체가 아직도 미비하고 모든 것이 부모에게 맡겨져 있잖아요.] <br /> <br />간병으로 인한 시간적, 비용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 차원의 복지 제도들은 여럿 마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정작 필요한 사람들이 이런 다양한 정부 제도를 직접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. <br /> <br />현실적으로 자신이 이용할 만한 제도가 무엇인지, 혹은 사각지대에 있어서 신청할 수조차 없는 것인지 스스로 알아내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또 제도마다 충족해야 할 조건이 만만치 않다는 점도 걸림돌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근 몇 년간 간병비 물가는 빠르게 오르고 있어서 시민들 부담은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사회적 약자일수록 정보 부족에 시달리는 만큼,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대상자 발굴과 정보 제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김원일 / 건강돌봄시민행동 정책위원 : 취약계층일수록 정보에 취약하거나 자신의 건강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, 일반적으로는. (수요와 공급을) 적절하게 국가가 조정해주고, 취약계층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고, 국가가 책임을 지고 해야 한다….] <br /> <br />치매가 있는 아버지를 간병하다 결국 극단적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귀혜 (shinkh06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2204545792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