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여름 장맛비에 이어 이번 가을 호우도 200년 만에 내릴 법만 기록적인 호우였다는 기상청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호우는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 사이에서 만들어진 정체전선에 태풍급 비구름이 더해지며 비구름을 더 폭발적으로 만드는 '기폭제' 역할을 한 게 원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1일 새벽,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한 호우가 쏟아진 창원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름도 아닌 가을철, 그것도 10월을 앞둔 9월 하순에 장마철보다 더 많은 비가 쏟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호우를 감당하지 못한 도로 곳곳이 침수됐고, 도심 전체가 마비됐습니다. <br /> <br />21일 하루에만 창원에 내린 비의 양은 무려 397.7mm, 공식적인 1시간 최다 강수량은 104.9mm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이날 창원 호우는 200년 만에 한 번 내릴 정도의 강한 호우였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기선 / 기상청 예보관 : 21일 창원에 내린 강수량은 일 강수량 기준으로도 그리고 한 시간 강수량 기준으로도 2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확률입니다.] <br /> <br />이외 지역도 진도에서 시간당 112.2mm의 극한 호우가 기록됐고, 해남과 서산에서도 시간당 100mm 안팎의 물 폭탄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에서도 화성에서 시간당 66.5mm의 강한 비가 내리는 등 시간당 60mm 이상의 극한 호우만 전국에서 무려 50차례 이상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누적 강수량은 19일부터 21일 사이 제주 산간이 무려 800mm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년 빈도의 호우가 내린 창원은 500mm가 넘는 비가 기록됐고, 여수도 400mm가 넘는 호우가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산과 속초에서도 200에서 400mm 사이의 비가 내리는 등 곳곳에서 9월 기준 지역 강수량 역대 1위 기록을 경신한 곳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기록적인 가을 호우의 가장 큰 원인은 정체전선과 태풍급 비구름입니다. <br /> <br />이례적 가을 폭염으로 한반도가 뜨겁게 달궈진 가운데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며 한반도에는 강한 정체전선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남해안으로는 남쪽 수증기가 공급되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강한 비구름이 형성됐는데 금요일 밤부터 주말 새벽 사이 정체전선이 남하하고, 태풍급 비구름에서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면서 정체전선을 더 발달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한 겁니다. <br /> <br />또 마지막으로는 정체전선과 태풍급 비구름이 만나 주말 밤까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92221542089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