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98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 중인 회사가 갑자기 직원 줄이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위로금을 3억까지 올리면서 희망퇴직을 받고 있는데, 어떤 사정이 있는 건지, 이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SK 그룹의 핵심계열사 SK텔레콤이 최대 3억원의 위로금을 내건 퇴직 프로그램을 가동합니다. <br><br>근속 연수가 25년이 넘거나 만 50세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는데, 신청자는 2년간 유급으로 휴직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이후 퇴직하면 퇴직금에 더해 위로금을 최대 3억원까지 주는 조건입니다. <br> <br>기존의 5000만 원보다 6배 올린 겁니다. <br><br>SKT 직원 평균 연봉은 1억 5200만원으로 국내 기업 중 최상위권입니다. <br> <br>위로금을 3억으로 올린 데는 퇴직 희망자를 늘리려는 의도도 있었을 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> <br>업계 일각에선 흑자를 이어가는 SKT가 선제적 비용 절감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통신시장 성장이 정체되고 AI(인공지능)에 대규모 투자가 계속 요구되는 만큼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겁니다. <br> <br>[박주근 / 리더인덱스 대표] <br>"특히 SK텔레콤은 연봉이 높거든요. 고임금 세대를 좀 줄여서 선제적으로 투자 재원을 확보하는 차원(이다.)" <br> <br>SKT는 직원들의 복지 차원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SKT 관계자는 "직원들은 휴직 후 본인 의사에 따라 복직이나 퇴직을 선택할 수 있다"며 "희망퇴직이나 명예퇴직과는 성격이 다르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