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부산항이 장기간 방치된 선박들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항만시설 사용료를 내지않고 버티는 배들이 많은데, 기름 유출 같은 사고의 위험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항구에 배들이 줄지어 붙어있습니다. <br> <br>페인트는 벗겨지고 조금만 손을 대도 녹이 떨어져 나갑니다. <br> <br>오랜 기간 방치된 선박들입니다. <br> <br>상당수가 고철에 가까운 폐선급 수준입니다. <br> <br>[선원] <br>"배 위에 쓰레기 많으면 그럼 폐선이죠. (저렇게 된 지) 몇 년 됐어요." <br> <br>부산항에서만 선박 160척이 1년 이상 장기 계류 중입니다. <br> <br>이중 절반은 항만 사용료를 안 내고 버티고 있습니다. <br> <br>선주가 아예 연락이 안 닿는 배도 10척이 넘습니다. <br><br>이 배는 2년 넘게 항구에 정박 중입니다 <br> <br>각종 폐기물은 물론, 선풍기나 신발 먹다 남은 음료수 등 마치 쓰레기장 같습니다. <br><br>관리가 안되니 사고도 잇따릅니다. <br> <br>5년 이상 방치됐던 유조선이 지난 주말 폭우에 기름이 유출돼 긴급 방제작업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선주와 연락이 닿지 않다보니 구상권 청구도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방치된 또다른 유조선. <br><br>기름통에 폐기름 100톤이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언제 또 기름이 유출될지 모릅니다. <br> <br>하지만 항만공사는 함부로 손을 못대고 있습니다. <br> <br>엄연한 사유재산인데다 배를 어디에 갖다놔야 할지 등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부산항만공사 관계자] <br>"배를 견인하려고 해도 갈 장소가 있어야 하잖습니까. 남의 사유재산을 함부로 할 수도 없습니다." <br> <br>바다와 항구를 점령 중인 녹슨 배들을 조속히 정리하는 방안이 시급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배영진 기자 ic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