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이가 1분 안팎에 불과한 '숏폼'으로 불리는 짧은 동영상 보시는 분들 많죠? <br /> <br />이런 변화에 맞추기라도 하듯 최근에는 2분짜리 드라마도 등장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해외에서는 이미 대세로 자리 잡았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최보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로 출시된 OTT 시청용 앱입니다. <br /> <br />여러 드라마가 올라와 있는데, 클릭해 보니 가로 화면이 아닌 세로 화면이 뜹니다. <br /> <br />길이도 2분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, 폭스미디어가 국내 최초로 숏폼 드라마 전용 플랫폼 '탑릴스'를 선보였고, 이어 7월에는 스푼랩스가 '비글루'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OTT 왓챠도 이달 숏폼 드라마 플랫폼 '숏챠'를 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회당 30분 안팎의 미드폼 형태에 이어, 2분짜리 숏폼 드라마 시대가 열린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유승 / 왓챠 콘텐츠그룹장 : 간결하고 강렬한 숏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이 요즘 쇼츠를 소비하는 콘텐츠 소비문화에 굉장히 잘 맞아 떨어졌기때문이라고 판단을 했고요. 장기적으로 일본 미주 그 외 여러 지역들로 글로벌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짧고 강렬한 영상, 쇼츠에 익숙한 세대가 많아지면서 해외시장에서는 숏폼 드라마가 이미 대세 콘텐츠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중국 숏폼 드라마 시장 규모는 7조 원, 올해는 9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앱스토어에서는 지난해 11월, 숏폼 드라마 플랫폼 '릴숏'이 무료 다운로드 순위 2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초기 단계지만, 국내 숏폼 드라마 시장도 이미 6,500억 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숏폼 드라마의 강점은 적은 제작비. <br /> <br />50부작 기준, 1억에서 1억 5,000만 원 정도가 듭니다. <br /> <br />통상 16부작에 200억 원이 드는 기존 50분 길이 드라마보다 훨씬 저렴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독성 강한 스토리에 작품이나 회차별로 구매하는 과금 형태로 시장이 형성되면서 저비용, 고효율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OTT의 강세와 드라마 시장 침체로 활로를 찾던 드라마 제작사가 숏폼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헌식 / 대중문화평론가 : 과금을 감내할 수 있는 직장인 혹은 사회 경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세대를 중심으로 모바일 서비스에 강점을 보이는 30대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그런 상황이죠.] <br /> <br />다만 짧은 시간에 강한 자극을 주려다 보니 소재가 한정적이고, 서사의 완성도가 낮은 것이 단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보란 (ran6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92904253470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