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거침없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는데요. <br> <br> 이번에는 한은이 저출산과 관련해 도발적인 보고서를 내놨습니다.<br> <br>여성의 고용률 상승이 저출산과 관련이 깊다는 건데요. <br> <br>장호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 <br>한국의 출산율 급감 현상은 수도권 인구밀집과 함께 여성고용률 상승과 관련이 깊다는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여성의 사회진출이 가속화됐음에도 출산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한 점을 지적한 겁니다.<br> <br>하지만 일하는 여성의 증가를 저출산의 이유로 제시하면서 젠더갈등과 같은 또 다른 논란도 예상됩니다. <br><br>[최진현 / 서울 금천구] <br>"너무 편파적으로 여성의 고용률이 높아졌다. 이런 건 좀 아닌 것 같고. 남녀가 또 이렇게 갈라지게 될까 봐 " <br> <br>최근 이 총재와 한은은 교육, 부동산 등 다양한 이슈에 공세적으로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(어제)] <br>"(대학 입시를) 성적순으로 뽑는 것이 가장 공정한 것은 아니다." <br><br>한은 측은 "논쟁을 두려워하지 말고 '시끄러운 한은을 만들자'가 기본적인 노선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한은이 독립된 국책기관으로서 낡은 경제구조를 개혁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<br> <br>일각에선 월권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[이정희 /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통화 정책에 일단 이제 좀 더 전념을 이제 해야 되겠죠. 범위 자체가 좀 넓게 나갔을 경우에 (오해의 소지가 있죠)" <br> <br>이 총재가 '구조개혁 전도사'를 자청하는 만큼 거침없는 주장은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호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기상 <br>영상편집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장호림 기자 holi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