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 국회에서 역사적인 일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국회의원 수가 300명이 된 이래 처음으로 300명 전원이 본회의 표결에 참석했습니다. <br> <br>그 정도로 여야가 총결집해서 붙은 표결은 바로 김건희 여사 특검법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이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의원 108명. <br> <br>그런데 재의결에 반대한 의원은 104명. <br> <br>결국 부결은 됐지만 4명이 사실상 반란표를 던진 겁니다. <br> <br>여권 내에선 다음 김 여사 특검법은 못 막을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유빈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우원식 / 국회의장] <br>"총 투표수 300표 중 가 194표, 부 104표, 기권 1표, 무효 1표로서 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." <br><br>22대 국회에서 재표결한 두 번째 '김건희 여사 특검법'이 최종 부결로 다시 폐기됐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여당 내 최대 4표 이탈표가 나온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<br>이번엔 국회의원 전원인 300명이 표결에 참석했습니다. <br><br>여당이 당론으로 부결시키기로 한 만큼, 반대표는 국민의힘 의석 수인 108명이 나왔어야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실제로는 104표에 그친 겁니다.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(표결 전)] <br>"(김건희 여사 리스크에)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해법이 필요하다는 당내외 많은 분들 생각을 저도 압니다. 그러나 지금 민주당 특검법안은 반드시 막아야 합니다." <br> <br>추경호 원내대표는 이탈표 지적을 애써 외면했습니다. <br><br>[추경호 / 국민의힘 원내대표(표결 후)] <br>"(단일대오가 깨졌다 이런 지적?) 글쎄 저는 단일대오가 깨졌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." <br> <br>더불어민주당은 더 센 김 여사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반란표 4명을 확인한 게 성과였다"며 "10월 국정감사로 김 여사에 대한 공세를 최대한 끌어올리면 다음 달 본회의 때는 노려볼 만하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[노종면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] <br>"이제 조금이라도 부끄럽고 두려움을 느끼는 개별 의원들이, 당내 소수 세력이 침몰하는 여당에서 탈출을 모색할 때입니다." <br> <br>야당은 이재명 대표 1심 선고 전 다시 김 여사 특검법안을 올릴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명철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