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> <br>상승거래 비중이 넉 달 만에 절반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 <br><br>어떤 이유인지, 배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서초구의 25년 된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><br>이 아파트는 전용면적 59제곱미터짜리가 올해 3월 14억 원대에 거래되다가 8월에는 16억 6천만 원까지 올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난달에는 1천만 원 하락한 가격에 거래돼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><br>지난달 서울 내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4개월 만에 50% 선 아래로 내려앉았습니다. <br> <br>고가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초구의 경우 22%대로 급감했습니다.<br> <br>거래량도 감소하며 매물이 쌓이고 있습니다. <br><br>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7월 정점을 찍은 뒤 지난달에는 절반 이하로 줄어든 상황입니다.<br> <br>[장은혜 / 서초구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] <br>"한 1월에서 7월까지는 (문의하는) 10명 중에 한 7~8건 정도 거래됐다면 지금은 한 2~3명 정도(입니다.)" <br><br>대출 규제가 강화된데다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과 갈아타기 수요가 상당수 소진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] <br>"9월 스트레스 DSR 시행을 앞두고 이미 7월, 8월에 실수요자 위주로 많은 사람들이 이미 샀다." <br> <br>가격 급등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돼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당분간 집값은 진정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석현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배정현 기자 baechewi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