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첫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80년대부터 인공지능의 핵심인 머신러닝의 기초를 닦은 과학자 2명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인공지능, AI의 핵심인 머신러닝의 개념은 1980년대에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존 홉필드 교수는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해 컴퓨터가 알아서 최적의 이미지를 찾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정립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를 이어받은 영국 출신의 제프리 힌턴 교수는 통계물리학을 이용해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단계로 나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컴퓨터는 딥러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이미지를 분류하고 새로운 예시까지 만들어낼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힌턴 교수가 21세기 AI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두 사람의 연구는 2010년대부터 머신러닝 연구가 폭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꽃을 피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날 휴대전화로까지 들어온 AI가 탄생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두 사람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AI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[제프리 힌턴 /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: AI는 산업혁명에 비견할 수 있습니다. 신체적 능력이 아닌 지적 능력에서 인간을 뛰어넘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노벨위원회는 AI가 가져올 위험성에 대한 경고도 잊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데이비드 해빌랜드 노벨 물리학상 위원 : AI는 좋은 쪽이든, 나쁜 쪽이든 어느 쪽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어떻게 사용할진 인류의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.] <br /> <br />AI 분야의 노벨상 도전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'알파고'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딥마인드 연구팀은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 AI 모델을 개발한 공로로 화학상 물망에 올라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00900311788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