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겨울 산양 떼죽음의 주요 원인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울타리가 지목됐지만, 정부는 여전히 전면 철거는 이르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YTN 데이터랩이 산양 사체가 많이 발견된 설악산 국립공원 인근을 분석해보니, 울타리가 필요한 '돼지 농가'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장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겨울, 천 마리 넘게 목숨을 잃은 1급 멸종위기종 산양. <br /> <br />YTN 데이터랩은 겨울철 산양의 행동권을 토대로, 울타리가 지친 산양에 '최후의 일격'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도 산양 떼죽음의 배경에 울타리가 있다는 걸 인정하고, 설악산에 올겨울 산양이 드나들 수 있는 폭 4m짜리 통로를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죽음을 막기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통로 30곳의 총 길이가 120m로, 설악산 국립공원을 둘러싼 전체 울타리 56km의 0.2%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박영철 / 강원대 산림환경과학대학 교수 : (산양 입장에서 생각해보면) 울타리가 나왔어요. 그럼 걸어가겠죠, 한참. 푹푹 (눈에) 빠지면서. 한참을 걸어가서 구멍(부분개방 통로)을 뚫고 나갔어요. 뚫고 나갔는데 뚫고 나간 지점 그 앞에 먹이가 잔뜩 있으면 살 수가 있지만 그 바깥에 먹이가 없다면 거기서 또….] <br /> <br />죽은 산양이 발견된 지도와 겹쳐보면, 아예 통로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통로를 전면 철거하지 않겠다는 정부, <br /> <br />내세우는 첫 번째 이유는 방역입니다. <br /> <br />[김정주 / 농림축산식품부 구제방역과 과장 : 2018년도 중국에서 ASF(아프리카돼지열병)가 발생해서 약 1억5천만 마리가 폐사했습니다. 그로 인해서 (돼지) 가격이 60% 정도 뛰었던 시점이었습니다. 그리고 지금까지도 인근에 있는 태국이라든가 필리핀에서는 (ASF가) 다발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그렇다면 울타리가 감염을 제대로 막는 역할을 하고 있을까. <br /> <br />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북쪽부터 무섭게 확산하던 2019년, 울타리를 설치한 뒤에도 야생 멧돼지 감염은 남쪽으로 계속 내려왔고 올해는 경북에 있는 돼지 농가까지 피해를 봤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산양이 떼죽음 당한 설악산 일대는 최근 3년 동안 야생 멧돼지나, 농가의 감염 사례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설악산 국립공원 주변에는 울타리로 보호해야 할 돼지 농가 자체가 적습니다. <br /> <br />산양 통로를 연 지점 반경 10km 이내에 3곳, 열지 않은 지점 반경 10km 내에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장아영 (jay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100905190092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