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루 전 노벨 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도 인공지능, AI 분야 연구자들에게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컴퓨터나 AI를 이용해 단백질의 비밀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했는데요, <br /> <br />보수적인 노벨위원회가 AI 시대의 개막을 선언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6년, AI 바둑 프로그램인 '알파고'는 한국의 이세돌 9단을 4대 1로 꺾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한대의 변수를 가진 바둑에서도 인간을 넘어서며 AI 시대의 서막을 여는 순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'알파고'를 개발한 구글의 자회사, 딥마인드 연구진은 더 큰 도약을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[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/ 2017년 5월 : '알파고'의 과학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고급 일반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.] <br /> <br />그로부터 4년 뒤, 모든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는 '알파폴드2'가 세상에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단백질의 기능은 구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질병을 정복하기 위해선 반드시 구조부터 파악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'알파폴드2'는 딥러닝을 바탕으로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해 수십 년간 생명과학계를 괴롭혔던 난제를 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미국의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는 컴퓨터를 이용해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각종 의약품이나 나노 물질로 쓰일 수 있는 창조적인 단백질을 잇달아 만들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[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생화학 교수 : 인류는 더 오래 살고 있습니다. 새로운 질병도 생겼습니다. 우리는 지구를 더 뜨겁게 만들고, 오염시키고 있습니다. 따라서 우리가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면, 새로운 단백질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단백질의 비밀을 밝혀낸 두 연구의 주역들에게 올해 노벨 화학상이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화학자가 아닌 딥마인드 CEO가 화학상을 받은 건 큰 이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페르닐라 비퉁-스타프셰데 노벨 화학상 위원 : 우리는 50년 넘게 이 진주 목걸이(단백질)에 모든 정보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. 하지만 이해하진 못했습니다. 그리고 오늘 우리가 이걸 해결했습니다.] <br /> <br />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까지 AI 연구자들에게 돌아가면서 노벨위원회는 인류가 본격적인 AI 시대에 진입했음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리학상은 1970년대부터 머신러닝의 기초를 닦은 연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01001504976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